3 리서치 - 지배구조가 우수한 증권사 2009 기업지배구조 선정 기업에 이어 신뢰를 얻는 금융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리서치

  • Acrobat Reader
  • 애널리스트윤리강령
  • 금융투자협회 애널리스트 정보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기업분석

기업분석 입니다.

글 읽기
제목 [5/2] 헬스케어 Update: 종근당(185750), 유나이티드제약(033270)
작성자 리서치센터 작성일 2016년 04월 29일 조회 7541
첨부 File (헬스케어Update_종근당유나이티드제약_20160502.pdf)) download헬스케어Update_종근당유나이티드제약_20160502.pdf

Analyst 임동락


종근당(185750) - 호불호(好不好) 혼재

도입품목 효과로 2016년 큰 폭의 외형 확대: 기존 제품 양호한 실적과 도입품목 신규 매출 영향으로 올해 35% 상회하는 높은 외형 성장 기대. MSD의 자누비아 시리즈와 바이토린/아토젯 등 5개 품목, 이탈파마코의 글리아티린까지 총 6개 대형품목 판권 계약 성공. 도입품목 통한 신규 매출액 1,700억원 예상. 이를 감안한 2016년 동사 매출액 8,011억원(+35.2% yoy) 추정.

이목을 끄는 잠재력 높은 파이프라인 다수 보유: Unmet Needs 해갈할 수 있는 잠재력 큰 파이프라인 다수 보유. HDAC6 inhibitor 기전 CKD-506 일본 전임상 진행 중, 하반기 유럽 1상 진입 목표. 마찬가지로 HDAC6 선택적 저해제 CKD-504 미국 전임상 중. 최초 경구용 VDA기전 항암제 CKD-516, HDAC inhibitor 기전 항암제 CKD-581, CETP 효소 억제 차세대 고지혈증 치료제 CKD-519 등 연내 국내 임상 1상 마무리. 2세대 빈혈 치료제 CKD-11101은 국내 임상 3상 진행 중.

도입품목 효과와 임상 초기 파이프라인에 대한 호불호 혼재: 대형 도입품목 통한 외형 확대 효과와 이슈화 가능성 높은 파이프라인에 대한 관심 지속될 것. 다만 신규 도입품목 특성상 마케팅 비용 확대와 저마진 구조 불가피하고, R&D 비롯한 판관비 증가 추세 지속되고 있음은 외형 확대 대비 수익성 개선 제한하는 걸림돌. 임상 초기 파이프라인에 대한 불확실성도 고민. 향후 임상 진행 상황 및 핵심 파이프라인 L/O 가시성 여부 확인한 후 신약 파이프라인의 적정가치 밸류에이션에 반영할 예정.


유나이티드제약(033270) - 소리 없이 강하다

1Q 양호한 실적 예상,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유지: 1Q 매출액 445억원(+9.1% yoy), 영업이익 71억원(+9.2% yoy), 순이익 73억원(+25.9% yoy)으로 양호한 실적 예상.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24,000원 유지. 1)주력제품 실로스탄CR 고공 행진 지속, 2)후속 개량신약 꾸준히 출시 대기 중, 3)개량신약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내실 보다 강화, 4)중장기 수출 모멘텀까지 기대되기 때문. 현 주가는 실적대비 저평가 상태로 매수 접근 유효.

실로스탄CR 기대 이상 페이스, 연 매출 170억원 가능: 실로스탄CR 출시 3년 만인 지난해 100억원 돌파. 1분기 40억원 상회, 분기 사상최대 매출 예상. 올해 170억원 이상 충분히 가능. 해외지사를 통한 신규 판매 도모하고 있어 수출도 증가할 듯. 3월 필리핀 식약청(PFDA) 제품 승인, 베트남/미얀마 등 추가 등록 추진 중. 실로스탄CR과 클란자CR 중국 임상 진입.

개량신약 신제품 대기, 블록버스터급 성장 기대: 개량신약 3개 포함 13개 신제품 올해 출시. 신제품 추가로 내실은 한층 강화될 것. 독자개발 통해 6~7월경 발매 예정인 위장관 운동기능 개선세 가스티인CR 주목. 시장 안착시 블록버스터급으로 성장 기대.



이전글 다음글 링크
이전 글 [4/27] 한국항공우주(047810): 1Q16 Review 외형 증가, 생산 안정화로 이익 급증
다음 글 [5/3] 한화테크윈(012450): 1Q16 Review 어닝 서프라이즈, 성장 국면 진입

Quick Menu

하이굿파워플러스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