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리서치 - 지배구조가 우수한 증권사 2009 기업지배구조 선정 기업에 이어 신뢰를 얻는 금융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리서치

  • Acrobat Reader
  • 애널리스트윤리강령
  • 금융투자협회 애널리스트 정보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산업 및 이슈분석

산업 및 이슈분석 입니다.

글 읽기
제목 [10/5] 주간산업이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년 10월 01일 조회 6526
첨부 File (주간 산업 이슈_20091005.pdf)) download주간 산업 이슈_20091005.pdf

업종

주간 산업 이슈

자동차

/달러 환율 하락 영향으로 자동차 업종 약세 지속.

특히, 주후반 외국인 매도가 커지면서 단기적으로 수급 불균형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어

 주도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조선

글로벌 3위 컨테이너선사인 CMA-CGM이 프랑스 정부와 채권단에 긴급 자금지원을 요청

했다는 소식이 발표되면서 조선업종을 중심으로 국내 증시 조정의 빌미를 제공함.

BDI지수

9월 24일

2163

-0.55%

9월 25일

2183

+0.92%

9월 28일

2192

+0.41%

9월 29일

2185

-0.32%

9월 30일

2220

+1.60%

석유화학

WTI 유가는 미국 원유재고 증가와 공급 초과 우려로 배럴당 65달러 수준까지 하향하며 최근 2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나, 경제지표 호전과 달러 약세가 맞물리며 배럴당 70$ 수준까지 급등함

9 24

65.72

-4.44%

9 25

65.87

0.23%

9 28

66.84

1.47%

9 29

66.71

-0.19%

9 30

70.61

5.85%

유통업

동 업종에 대한 투자모멘텀 여전히 유효하다. 특히 오프라인 업태 중 백화점 신장세는 지속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부동산경기 회복과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부의 자산효과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신종 인플루엔자 유행으로 고객 집객력 감소라는 우려보다는 해외 여행 기피에 따른 국내소비 대체라는 긍정적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할인점 업태의 신장세가 예상보다 떨어지고 있는 점은 매우 우려되는 부분이다. 내수침체에 따른 문제만이 아니라 경쟁의 심화, 특히 동종업태보다는 이종업태와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는 것은 할인점 업계의 새로운 숙제로 부각될 것이다. 즉 단순 백화점 나열방식의 매장구성이 아니라 소비자 니즈에 맞는 컨셉 변화가 요구된다.

 

한편, 종합상가 업태의 실적 Performance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고 있어 4분기 유통업종 내 가장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일부 종합상사의 경우 M&A 이슈도 함께 부각되고 있어 수급여건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다

유틸리티

▶동 업종에 대한 투자 모멘텀 부각이 점쳐진다. 일단 2분기에 이어 3분기 역시 원화강세로 원료비 부담은 한층 완화되어 실적 개선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그 동안 급등 장에서 소외되었던 만큼, 순환매 관점에서의 접근 역시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내 경기회복으로 정부의 규제리스크 완화가 기대된다는 점이다.

통신서비스

▶ 방통위 집계에 따르면 8월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증가는 12.8만으로 7 32.8만에 비해 크게 감소. 이는 보조금 경쟁 자제에 따른 것으로 이통사 수익성 회복에 기여할 전망. 그러나 다음달 KT의 아이폰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단말기 교체 수요가 급증하여 보조금 경쟁이 재현될 우려. 향후 SKT로 아이폰 공급이 확대될 경우 연말 마케팅 경쟁 심화로 인한 이통사 수익성 저하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음.

철강

3분기 실적 시즌에 접어들면서 국내 철강업체별로 실적 이원화가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됨. 일단은 포스코를 비롯한 냉연업체들의 실적 개선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철근을 비롯한 봉형강 부문은 비수기 영향 및 스크랩 가격 상승으로 마진 둔화가 전망됨. 다만, 9월부터 가을 성수기에 진입함에 따라 판매가 개선되고 있고 4분기 철근가격 인상효과 및 스크랩 가격 상승 정체 등으로 이익 개선이 재차 가능할 것으로 보임.

한편, 최근 철강업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주가 역시 양호한 흐름을 보였으나 대체로 포스코, 현대제철 중심의 대표주 중심이었던 반면 중소형주의 경우 여전히 횡보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양호한 실적 개선세가 예상되는 중소형주로의 접근도 고려해볼 만 할 것.

 

  

 

 

*본 자료의 산업 및 종목은 추천의 의미가 아니며 투자자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공시 및 뉴스를 기반으로 지난주 업종 흐름을 정리한 것임.

*본 자료는 전일 장종효 후 당사 홈페이지에 공표되었으며 공표 이전 특정기관에 사전 제공된 사실이 없음.(윤관철)

이전글 다음글 링크
이전 글 2009년 10월 Economic Calendar
다음 글 [10/12] 주간산업이슈

Quick Menu

하이굿파워플러스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