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리서치 - 지배구조가 우수한 증권사 2009 기업지배구조 선정 기업에 이어 신뢰를 얻는 금융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리서치

  • Acrobat Reader
  • 애널리스트윤리강령
  • 금융투자협회 애널리스트 정보
  •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 DART

산업 및 이슈분석

산업 및 이슈분석 입니다.

글 읽기
제목 [1/18] 주간산업이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0년 01월 17일 조회 6260
첨부 File (주간 산업 이슈_20100118.pdf)) download주간 산업 이슈_20100118.pdf

업종

주간 산업 이슈

자동차

지수 1,700선 돌파 속에 자동차 업종 지지부진한 흐름 지속, /달러 환율 흐름 관건

   (현대차, 기아차 실적 발표 일정: 각각 28, 29)

 

▶ 한국타이어 실적 발표: 원재료 상승 부담으로 향후 실적 둔화 가능성 제기되고 있으나 국내외 가동률 100%, 금호타이어 채권단 워크아웃 상태로 국내 M/S 증가 예상 및 중국 시장 선전 등을 감안 실적 둔화 폭 제한적일 전망임.

조선

BDI지수

 

1 8

3140

-0.29%

1 11

3148

+0.25%

1 12

3160

+0.38%

1 13

3175

+0.47%

1 14

3235

+1.89%

석유화학

▶ 금주 발표되었던 미국의 소매, 고용관련 지표들의 약세로 국제유가는 수요 약화 우려로 나흘 연속 하락하며 배럴당 79$선까지 하락함 

1 8

82.75

0.11%

1 11

82.52

-0.28%

1 12

80.79

-2.10%

1 13

79.65

-1.41%

1 14

79.39

-0.33%

유통업

▶ 유통업종에 대한 투자 모멘텀 여전히 유효하다.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원화강세로 해외 여행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소비여력 감소 우려로 유통업종에 대한 수급강도가 떨어지고 있으며, 특히 명품소비가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견조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백화점 수급은 나빠지고 있다. 달러 및 엔화 약세와 명품매출과의 유의적인 마이너스 관계는 비록 존재하지만, 마진율이 크지 않기 때문에 백화점 전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경기가 회복국면에서 확장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는 만큼, 유통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전략 유효하다.

유틸리티

UAE에 대한 성공적 원전수출계약으로 유틸리티 업종에 대한 정책수혜가 기대된다. 원전수출사업은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을 견인할 절대적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원전업체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직간접 지원이 이어질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통신

SKT 14일 단말기, 요금, SW 등 스마트폰 기반 총체적인 무선인터넷 활성화 종합대책 발표. 올해 15종 약 200만대 스마트폰 출시를 밝히며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플랫폼 정책을 표방. WiFi 탑재 단말기 수를 늘리고 본격적인 WiFi망 구축으로 3G망의 트래픽을 분산. 이밖에 DRM을 해제한 단말수를 늘려나가 음원등 컨텐츠가 단말기에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 가능할 전망. SKT의 이번 대책은 KT가 아이폰으로 촉발한 무선인터넷 시장 활성화에 대한 대응책 성격으로 더이상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지 표명. 앞으로 양사간 경쟁 심화로 무선인터넷시장 활성화 및 음원, 게임, 솔루션, 포털 업체들의 수혜 예상.

철강

▶ 국내 철근 가격은 최근 인상에 대한 보도가 이어지면서 인상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는 상황. 아직까지는 수요회복이 더뎌 가격 인상에 대한 건설사들의 반발이 여전한 모습이지만 철스크랩을 비롯한 원재료 가격 부담이 치솟아 스프레드가 축소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본격적인 인상 시도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1차적으로는 2월 가격 인상이 시도될 것으로 보이나 건설사들의 반발 및 수요부진으로 실적용 시점은 보다 늦춰질 가능성 역시 높아 추이를 주시할 필요 있어 보임. 수요가들의 반발 및 수요 부진 등을 고려할 때 단계적 인상이 시도될 것으로 보이고 수요 회복이 예상되는 2월 중순으로 접어들면서 인상 논의는 더욱 활발해 질 전망. 일단은 국내 주요 철근업체들의 09 4분기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1분기 가격 인상을 통한 이익 개선 및 턴어라운드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측면에서 주가에 긍정적인 모멘텀으로 판단됨.

 

 

 

*본 자료의 산업 및 종목은 추천의 의미가 아니며 투자자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공시 및 뉴스를 기반으로 지난주 업종 흐름을 정리한 것임.

*본 자료는 전일 장종효 후 당사 홈페이지에 공표되었으며 공표 이전 특정기관에 사전 제공된 사실이 없음.(윤관철)

이전글 다음글 링크
이전 글 [1/11] 주간산업이슈
다음 글 [1/18] 철강산업: 글로벌 철강 가격 상승세 이어가, 업황 개선 가능성 점증

Quick Menu

하이굿파워플러스 다운로드